가상머신

Uptime : 실행된 시간

Downtime : 중단된 시간

SLA(Service Level Agreement) : 계약서 뒤에 별도 협약으로 붙임, 일정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

 

가용성 집합 - 가용성 영역 - 쌍을 이루는 지역

 

1. 가용성 집합

 

2. 가용성 영역 만들기

 

3. 부하 분산

-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

windows 001 RDP로 접속

'퍼블릭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트래픽 관리자  (0) 2022.07.15
Azure 로드 밸런싱  (0) 2022.07.14
Azure Storage  (0) 2022.07.12
Azure 가상 머신(VM)  (0) 2022.07.08
Azure 가상 네트워크  (0) 2022.07.08

1. 스토리지 계정(=버킷) 만들기

리소스 만들기 > 스토리지 계정 선택
계정 이름 및 지역, 중복 타입 선택

[ Azure 중복 타입 ]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도록 모든 네트워크에서 퍼블릭 액세스 사용 선택, 검터 + 만들기 클릭
배포 완료 화면
생성된 스토리지 계정 내용 확인 가능
데이터 스토리지 4개 종류 존재

[ 데이터 스토리지 ]

  • 컨테이너 스토리지 = 블럽 스토리지 
  • 컨테이너, 파일, 큐, 테이블 스토리지에따라 링크가 조금 다름 
  • 컨테이너 = AWS의 디렉토리 / 폴더
  • Blob - 파일 (문서, 이미지, 동영상, 로그, 백업파일 등)

 

 

2. 컨테이너 스토리지 생성

좌측 데이터 스토리지 > 컨테이너 클릭
+ 컨테이너 클릭
컨테이너 이름 생성 및 만들기 클릭
생성된 컨테이너 확인 가능
생서한 컨테이너 접속 및 업로드 클릭
파일 선택 및 블록 크기, 액세스 계층 선택, 폴더 입력(없으면 생성됨)

[ 액세스 계층 ]

 

폴더 생성 확인 가능
폴더 안 파일 확인 가능
url로 접근시 접근 불가 - 액세스 권한이 없기 때문
생성한 컨테이너 > 개요 > 액세스 수준 변경 > 읽기 전용 액세스 선택
파일 확인 가능

 

3. 테이블 스토리지 생성

  • AWS의 DynamoDB와 유사
  • 스키마가 없는 키/캆 저장소 = NoSQL
  • 엔티티 제한 없이 저장 가능

+ 테이블 클릭 후 테이블 이름 설정
생성한 테이블 확인 가능
테이블 아래에 생성한 테이블 확인 가능, + 엔티티 추가 버튼으로 엔티티 추가
엔티티 임의 설정 및 추가
생성된 엔티티 확인 가능

 

 

4-1. 공유 폴더 - Windows DC

Windows 서버와 공유 폴더 생성 위해 Windows VM 생성
리소스 그룹, 이름, 지역, 가용성 옵션 설정

 

크기, 관리자 계정 정보 입력
디스크 유형 선택
디스크 만들기에서 이름, 크기 설정
인바운드 포트 위와 같이 추가

 

부트 진단 사용 안함
확장에서 Windows Antimalware 선택 및 추가
태그 추가 및 만들기
생성 완료
RDP 파일 다운로드 및 연결
Server Manager에서 IIS 추가
Next 클릭 후 Install 클릭
Azure에서 +파일 공유 클릭
이름 설정 및 생성
파일 공유 폴더에 들어가 연결 클릭
Windows랑 연결할 것이기 때문에 Windows 클릭 및 회색 박스 내용 복사
접속 후 PowerShell ISE 실행
파워 쉘의 View > Show Script Pane 선택 후 위쪽 창에 복사한 내용 붙여넣기
F8 눌러 실행
윈도우 탐색기에 들어가면 Azure에서 공유폴더로 생성한 폴더 확인 가능

 

4-2. 공유 폴더 - Ubuntu

우분투에 공유폴더 생성 위해 우분투 VM 설치
리소스 그룹, 가상 머신 이름, 지역, 가용성 옵션 선택
크기 선택 및 SSH 접속을 위한 내용 설정
프라이빗 키 다운로드 및 리소스 만들기 클릭
위의 과정으로 접속 가능
우분투 VM > 연결에서 회색 박스 복사
우분투로 연결할 공유 폴더 생성 및 파일 업로드, 위의 회색 박스는 터미널에 붙여넣기해 실행하면 확인 가능

 

5. 큐 스토리지

FIFO

 

6. 스토리지 탐색기

windows10 vm 설치

'퍼블릭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로드 밸런싱  (0) 2022.07.14
Azure 고가용성 및 부하 분산  (0) 2022.07.13
Azure 가상 머신(VM)  (0) 2022.07.08
Azure 가상 네트워크  (0) 2022.07.08
Azure RBAC  (0) 2022.07.08

[ Azure VM ]

  • 인터넷으로 빠르게 프로비전(사용자 / 비지니스 요구에 맞게 시스템이나 서비스 제공 가능하도록 미리 자원 할당 및 배치 준비 과정), 관리 가능
  • 온-디맨드 지불
  • 가상 머신 이름을 호스트 이름으로 사용
  • 윈도우 - 15자, 리눅스 - 64자 제한
  • 호스트 이름 변경 가능, 가상 머신은 변경 불가능
  • 비용 - 컴퓨팅(시간 단위, 초 단위 측정), 스토리지 비용(vm이 사용하는 스토리지에 부과, vm 중지해도 사용하는 디스크에 대해 청구됨)
  • 운영체제는 64비트만 지원
  • 윈도우는 유료 운영체제 - 청구서에 라이선스 비용 청구 됨
  •  vm 윈도우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불가
  • 공용 ip 주소, 네트워크 보안 그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가상 네트워크 필요

 

1. windows 10 - Client

리소스 만들기에서 windows 10 검색
만들기 클릭
리소스 그룹 선택 후 가상 머신 이름, 지역, 가용성 옵셔, 이미지, 크기 등 선택
관리자 계정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입력(로컬에 저장 필수)
디스크는 표준으로 선택(프리미엄은 비쌈)
네트워크는 이전에 만든 가상 네트워크 사용
부트 진단은 사용하지 않음
고급에 설치할 확장 선택 클릭
Microsoft Antimalware 선택 (바로 안나오니 더보기? 눌러야 보임)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만들기 클릭
확장에 추가한 안티멀웨어 확인 가능
유효성 검사 통과 후 만들기 클릭
배포 완료
생성된 vm 확인 가능
연결에서 rdp 파일 다운로드
연결 클릭
계정명과 비번 입력(관리자)
다시 묻지 않음 선택 후 예 클릭
윈도우 접속 후 turn windows~ 검색 및 접속
Windows Sub~ 클릭 후 ok 클릭
재시작 필요
Microsoft store 접속
우분투 설치
Sign in 클릭

 

ms 계정 입력
Launch 클릭
터미널 접속 완료

'퍼블릭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고가용성 및 부하 분산  (0) 2022.07.13
Azure Storage  (0) 2022.07.12
Azure 가상 네트워크  (0) 2022.07.08
Azure RBAC  (0) 2022.07.08
Azure 사용자와 그룹  (0) 2022.07.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