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섹션에서는 k8s 네트워크 관련한 내용을 정리했다.
k8s는 보통 Node, Pod에 각각 ip를 붙여준다.
Node ip는 ssh 접근 등을 위해 붙여준다.
참고로 Docker에서는 container에 붙이나 k8s는 container가 아닌 Pod에 붙인다.
k8s가 처음 설정될 때 사설 ip 설정하는데 주소 범위는 10.244.0.0이며, node 단위로 생성된다.
따라서 pod 끼리 내부 통신 가능하나, 다양한 변수가 있기 때문에 추천하는 방법은 아니라고 한다.
k8s 특성상 Pod가 생성 / 삭제가 불규칙하게 일어나는데 ip로 설정을 하면 여러 변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노드 1,2에 있는 pod 1-1, 2-1은 같은 ip를 가질 수 있기 떄문에
각기 다른 Node 안에 있는 Pod가 통신할 경우, ip 충돌이 날 수도 있다.
Node와 Container는 양방향 통신 가능해야 하는 것이 k8s가 원하는 방향인데, 이는 직접 구성해야 한다.
>> cluster 배포하는 플랫폼에 따라 기 개발된 솔루션(cisco, vmware nsx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으로 각 Node와 Pod는 unique ip 지니게 되고, 비로소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진다.
'Kubernetes > Begin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 섹션 7 (0) | 2024.07.25 |
---|---|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 섹션 5 (0) | 2024.07.25 |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 섹션 4 (0) | 2024.07.23 |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 섹션 3 (0) | 2024.07.23 |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 섹션 1, 2 (1) | 2024.07.23 |